website free tracking
 

  • 축구
  • 농구
  • 야구
  • 배구
  • 기타
  • 프리뷰
  • 프리미엄
  • 해외
  • 오늘연예
  • 오늘이슈
  • 오늘유머
  • 오늘운세
  • 오늘포토

마약 전과자 나오고 회당 출연료 10억, 넷플릭스가 다 먹는 판 [Oh!쎈 초점]

작성자 정보

  • 벳프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마약 전과자 나오고 회당 출연료 10억, 넷플릭스가 다 먹는 판 [Oh!쎈 초점]


이미지 원본보기
0004895956_001_20230726220806406.jpg?type=w540


[OSEN=연휘선 기자] 그룹 빅뱅 출신 탑이 마약 전과 논란에도 '오징어 게임 시즌2'에 출연한다. 배우 이정재는 같은 작품에서 회당 출연료 10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영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니라는 수긍과 함께 동시에 넷플릭스의 시장장악력에 대한 놀라움과 우려가 동시에 쏟아지고 있다. 

한국 콘텐츠를 세계에 알려준 작품 '오징어 게임'이 시즌2로 제작된다. 시즌1보다 한층 커진 스케일로 1000억 원대의 제작비가 투입되고, 그 와중에 시즌1에 이어 시즌2에도 주연으로 활약할 이정재의 출연료가 회당 10억, 13억 원에 이른다는 설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국의 작품과 배우가 글로벌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은 셈이니 반가울 일이다. 동시에 한편으로는 넷플릭스가 보여준 돈의 맛이 한층 더 한국 시장을 빠르게 장악할 것이 예견돼 제작 업계를 긴장하게 만들었다. 

이미지 원본보기
0004895956_002_20230726220806431.jpeg?type=w540


# 'K-콘텐츠'는 상품일 뿐...알짜배기는 글로벌 플랫폼 비즈니스

지난 시간 한국은 'K-콘텐츠'에 들떴다. 실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칸과 아카데미까지 휩쓸고 '오징어 게임' 또한 넷플릭스 1위를 바탕으로 에미상까지 받으며 괄목할 성과를 거두긴 했다.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 같은 아이돌 그룹들이 굳건한 인기를 자랑하고 전 세계 명품 브랜드 앰배서더로 한국 스타들이 활약 중인 상황. 세계가 K브랜드에 열광하고 있는 것은 분명 사실이다. 

그러나 콘텐츠 시장 안에서 한국의 위치를 바라보는 시각은 한층 냉정해지고 있다. 영화, 드라마, 팝스타 등으로 성공하는 것은 결국 대중 문화 산업 안에서 상품을 제작해 성공시키는 것.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을 거치며 전 세계적으로 극장이 무너지고 OTT 플랫폼이 대중적으로 활성화되며 콘텐츠 유통망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한국의 제작 역량이 먹혀왔던 시장이 변화한 것이다.

팬데믹 이후 콘텐츠 산업의 중심은 누가 뭐래도 넷플릭스다. 유료 가입자만 2억 명이 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만 3조 원 대, 전 세계적으로 20조 원 대에 이르는 콘텐츠 투자를 진행 중이다. '오징어 게임' 시즌2 같은 작품도 넷플릭스가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오리지널 작품이다. 제작만 한국에서 할 뿐. 

심지어 '오징어 게임' 시즌1의 성공 또한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1위를 기록한 뒤 국내로 역수입됐다. 자연스레 한국에서만 불거지는 작품의 논란은 넷플릭스에게 리스크가 아니다. 작품의 성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국지적인 이슈에 지나지 않는다. 마약 전과자 논란을 가진 탑이 거셍 비판 여론에도 '오징어 게임' 시즌2 대본리딩까지 참석하고 출연자 명단에 오를 수 있던 이유다. 

이미지 원본보기
0004895956_003_20230726220806455.jpeg?type=w540


# 제작 말고, 한국 OTT 현주소는?

적어도 현재 한국에서는 넷플릭스의 경쟁상대가 없다. 해외에서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유일한 대항마로 여겨졌던 또 다른 글로벌 플랫폼 디즈니+는 사실상 한국에서도 철수나 다름 없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유료 가입자들이 정체상태인 것은 물론, 한국에 있던 오리지널 제작 인력이 모두 해고됐다. 더 이상 디즈니+의 추가 오리지널 작품은 없는 셈이다. '카지노', '형사록' 시즌2 등 최근 작품과 공개를 앞두고 있는 '무빙' 등은 기존 제작한 작품을 공개하는 것이다. 

소위 토종 OTT로 불리는 국내 플랫폼의 상황은 더욱 열악하다. '시멘틱 에러',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등으로 매니아 층을 겨냥했던 왓챠는 매각 대상에 올랐고, 그 마저도 인수 대상을 찾지 못해 정말 매니아들 만의 OTT로 남을 위기다.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을 논의 중인 상태이지만 각자 1000억 원 대 적자를 기록 중인 상태였던 만큼 국내 구독자 기반 서비스로 이를 회복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나마 쿠팡플레이는 모회사 쿠팡이 흑자 전환하고 탄탄하다는 점에서 흔들림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긴 하나, 'SNL 코리아' 시리즈와 '어느 날'에서 '안나'로 이어지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공백이 상당해 단일 플랫폼으로는 역시 아쉬움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이들 모두 '글로벌 플랫폼'으로 성장할 국내 OTT의 숨통은 아직 트이지 않았다. 

그렇다고 제작 여건이 마냥 한국의 독주냐고 한다면 그것도 아니다. 여전히 글로벌 시장의 메이저 제작사는 할리우드에 있고, 한국에서는 그나마 CJ ENM과 SLL 등이 덩치를 키우고 있다. 더욱이 이들은 제작 이후 흥행을 100% 담보할 수 없는 콘텐츠 산업의 특성상 제작비 리쿱에 기반한 콘텐츠 제작의 수익성을 낙관적으로 보지 않는 국내 투자자들의 시선도 이겨내야 한다. 해외에서 '콘텐츠 산업이 돈이 된다'는 인식이 확고하게 자리매김한 것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나아가 후발주자로 여겨지는 중국에서는 광전총국이 출연료가 총제작비의 40% 이상이 될 수 없도록 규정을 만들어가며 제작사들의 부담을 낮추는 등 공세를 퍼붓고 있다.

이미지 원본보기
0004895956_004_20230726220806492.jpeg?type=w540


# 콘텐츠도 결국 '규모의 경제'

그 와중에 독주가 지속되며 넷플릭스의 압도적인 투자 위력은 더욱 커졌다. 당장 톱스타 주연 배우들도 넷플릭스 오리지널 출연을 1순위로 원하게 됐고, 이들을 섭외하고 싶은 제작진 상황도 마찬가지. 출연료는 기본 제작 환경부터 작품의 공개 이후 성과까지 큰 차이가 나는 만큼 당연한 수순이다. 

문제는 이러한 제작 환경이 넷플릭스가 아닌 플랫폼들에게도 요구되고 있다는 것. 상향 평준화된 제작비 규모는 쉽게 줄어들지 않고 커지기만 쉽다. 제작진은 제작비 일체를 부담할 수 있는 곳을 찾다 보니 넷플릭스에게 간택되길 기대하는 형국이다. 자연스레 작품의 지적재산권(IP)도 넷플릭스에게 종속되고 있다. 물론 넷플릭스는 절반 이상의 제작비를 부담한다면 IP를 나눌 수 있다고 하고 있으나, 그만한 규모도 한국의 단일 제작사에서 부담하긴 쉽지 않고 오리지널 서비스가 되지 않을 경우 해외를 상대로 성공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꺼려지고 있다. 

국내 방송사들은 이러한 대작들에서 손을 땔 수 밖에 없는 지 오래. KT 스튜디오 지니의 오리지널로 만들어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 이변을 일으킨 작품도 나오고는 있으나, 이 역시 SBS에서 편성을 고민하다 놓친 작품이고 그 후속 흥행작도 아직 없었다. 그 밖의 국내 시청률 흥행 작품들도 넷플릭스를 통해 해외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지 않는 한 큰 매력을 더해주지 못하고 있다. 

결국 한국이 넷플릭스의 하청기지화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 돌파구는 국내 OTT나 제작사들 또한 직접 세계를 상대로 하는 것에 달렸다. K콘텐츠가 세계로 나간다는 것은 그런 일이다. 단순히 영화 한 편, 드라마 한 시리즈가 해외에서 사랑을 받는 것이 아닌 제작 일선의 무대가 글로벌화 돼야 한다. 글로벌 비즈니스의 맛을 본 톱스타나 관객의 눈을 억지로 낮출 수도 없는 법. K 브랜드의 성장 가능성이 광대한 시선의 크기에 달렸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931 / 153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